본문 바로가기

[Python] 파이썬 클래스, 인스턴스, 모델링, 메소드 정의, 기초 개념잡기 개념클래스- 변수나 함수들을 모아서 필요할때 사용할 수 있는 집합체 인스턴스- 클래스에 의해 만들어진 객체- 인스턴스는 각자 자신의 값을 가지고 있음 모델링- 클래스로 현실의 개념을 표현 메소드- 함수와 비슷한 개념- 클래스에 묶여서 클래스 안에 있는 인스턴스와 관계되는 함수 실습클래스 선언 (변수나 함수들을 모아 필요할때 사용하는 집합체)123#사람이라는 클래스를 작성class Human(): '''이야 사람이다'''csclass 클래스명내용 인스턴스 생성(클래스에 의해 만들어진 객체)123 #Human이라는 클래스의 인스턴스로 person1, person2 생성person1 = Human()#즉 Human이라는 클래스에 person1이라는 인스턴스가 생성됨person2 = Human()#즉 Human.. 더보기
[Python] 파이썬 break의 정의, 예제 개념Break반복문을 종료시킬때 사용 예제Breakbreak가 없을때12345list = [2,4,3,5,7] #list에 2,4,3,5,7값을 넣어준다 for value in list: #list의 값을 value라는 변수에 넣어주며 반복한다 if value % 2 == 0: #value의 값이 2의 배수(2와 나눠 나머지가 0이면)가 나오면 print(value) #출력한다Colored by Color Scriptercs 2의 배수인 2,4가 출력됩니다. 하지만 여기서 2만 출력되게 하려면? -아래와 같이 하면 됩니다. break가 있을때123456list = [2,4,3,5,7] #list에 2,4,3,5,7값을 넣어준다 for value in list: #list의 값을 value라는 변수에 넣어.. 더보기
[Python] 파이썬의 while의 조건문을 통한 개념과 예제 개념while문은 조건이 참인 경우에만 계속 실행하는 반복문입니다. 실습 12345678selected = None #변수 초기화while selected not in ['철수', '영희', '짱구']: #while문을 사용하여 철수,영희,짱구가 들어오지 않을경우 실행하겠다 selected = input('입력하세요. (단, 철수, 영희, 짱구 셋만 선택가능합니다.)') #철수 영희 짱구가 안나오면 무한반복 print("선택한 값은 :", selected) #철수 영희 짱구가 들어온다면 while문을 빠져나와 출력cs 코드 설명은 주석으로 달아놨습니다.이 코드를 실행해보겠습니다. 보시게 되면 아몰랑, 누구야를 입력했을때는 계속 반복문을 못빠져나오고 있습니다.하지만 미리 설정해놓은 철수를 입력하자 반복문이.. 더보기
[Python] 파이썬 packing, unpacking 정의와 예제 기본개념Packing하나의 변수에 여러개의 값을 넣는것입니다. UnPacking패킹된 변수에서 여러개의 값을 꺼내오는것입니다. 오늘은 한줄한줄 쳐보며 실습하는 것이 이해하기 쉬우므로 파워쉘(powershell)에서 실습해보겠습니다.실습하기전 Python이 PC에 설치되어있어야 가능한 실습입니다! 실습먼저 Windows PowerShell을 실행합니다.실행방법은 윈도우키+R을 눌러 실행을 들어가서 powershell을 입력한 후 엔터 치면 파워쉘이 실행됩니다. python을 입력합니다. c = (3,4)C라는 변수안에 여러개의 값을 넣어 cC라는 변수안에 값이 잘 들어간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UnPackingC안에 들어있는 3,4라는 값을 각각 d, e에 넣어 Unpacking 해보겠습니다 먼저 c.. 더보기
[C++] C언어 함수(function)의 구성, 정의 기초 개념잡기 함수란?- function이라고 하며 뜻은 기능을 뜻합니다.- 기능을 구현하는 부분을 따로 분리하여 구현한 것으로, 구조화 프로그램의 중요한 개념입니다.* 구조화: 프로그램을 기능별로 함수화 하는것 (쉽게말해 프로그램을 기능별로 쪼개는것)* 여기서 구조화된 데이터를 처리할때 struct를 사용하는데 이를 구조체라 하며 구조체에 대해서는 추후 다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함수의 기본 형태 함수는 사진과 같이 반환자료형, 함수이름, 인수목록으로 나뉩니다. - 반환자료형: 메인함수의 사용에서 return 0;부분을 보면 0을 반환한다는 뜻인데 정수형으로 반환하여 int를 사용했습니다.- 함수이름: main함수의 경우 프로그램 실행시 가장 먼저 실행되는 함수입니다.꼭 필요한 함수이며, 변경할 수 없지만 사용.. 더보기